전통축제 (86)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도의 신성한 불 축제, 홀리(Holi)와 베다 시대의 의식 1. 불의 정화와 재생의 의미, 홀리 축제의 기원홀리(Holi)는 전 세계적으로 **‘색의 축제(Festival of Colors)’**로 알려져 있지만, 그 기원은 베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신성한 불의 의식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인도에서는 홀리를 단순한 축제 그 이상으로, 악을 정화하고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신성한 불의 의식으로 여겨왔다.홀리의 신화적 기원은 힌두교 경전 '푸라나(Purana)'에 기록된 프라흘라다(Prahlada)와 홀리카(Holika)의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프라흘라다는 힌두교의 신 비슈누(Vishnu)를 숭배하는 경건한 소년이었는데, 그의 아버지 히란야카시푸(Hiranyakashipu)는 자신을 신으로 숭배하도록 강요했다. 프라흘라다가 이를 거부하자, 히란야카시푸는 누이 홀.. 네팔의 살아있는 여신을 기리는 쿠마리 축제, 쿠마리 자트라(Kumari Jatra) 1. 신성과 인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존재, 쿠마리 여신네팔에서 가장 신비로운 전통 중 하나로 손꼽히는 "쿠마리 자트라(Kumari Jatra)"는 살아있는 여신인 ‘쿠마리(Kumari)’를 기리는 축제이다. 쿠마리는 단순한 신격화된 인물이 아니라, 네팔 카트만두 계곡의 네와르족(Newar) 전통에서 신성한 힘을 가진 인간 여신으로 여겨진다. 이 독특한 전통은 힌두교와 불교의 융합적인 요소를 갖고 있으며, 수세기 동안 네팔 왕국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왔다.쿠마리는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어린 소녀 중에서 엄격한 선발 과정을 거쳐 선택되며, 신성한 존재로서 숭배된다. 전통적으로 힌두교의 '두르가(Durga)' 여신과 탄트라 불교의 '바즈라데비(Vajradevi)' 신격을 결합한 존재로 여겨지며, 그녀가 세속적인.. 스리랑카의 대승불교 성지 순례제, 에사라 페라헤라(Esala Perahera)의 전통 1. 신성한 유물과 왕권의 상징: 에사라 페라헤라의 기원스리랑카에서 가장 성대한 불교 축제 중 하나로 손꼽히는 **에사라 페라헤라(Esala Perahera)**는 신성한 불아(佛牙, Buddha’s Sacred Tooth Relic)를 기리는 의식으로, 매년 7월~8월 보름달이 뜨는 시기(에사라 월, Esala Month)에 캔디(Kandy)에서 거행된다. 불교 국가인 스리랑카에서 이 축제는 단순한 종교 행사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불아(佛牙)는 부처의 치아 유골로, 불교에서 가장 신성한 유물 중 하나로 간주된다. 전설에 따르면, 이 유물은 부처의 열반 후 인도에서 스리랑카로 전해졌으며, 이후 캔디(Kandy)의 불치사(Temple of the Tooth)에 봉안되었다. 고대부터 스리랑카의 왕들은 불아를.. 파키스탄 신드족의 수피 음악 축제, 랄 샤바즈 칼란다르(Lal Shahbaz Qalandar) 제례 1. 신비로운 성인, 랄 샤바즈 칼란다르의 유산파키스탄 신드(Sindh) 지역의 세원(Sehwan)에는 수피 성인 랄 샤바즈 칼란다르(Lal Shahbaz Qalandar)의 무덤이 위치해 있으며, 매년 수십만 명의 순례자들이 그의 제례(우르스, Urs)를 기념하기 위해 모인다. 그는 13세기 페르시아 출신의 수피 성인으로, 이슬람 신비주의(Sufism)와 인류애를 실천했던 인물이다. 본명은 우스만 마르반디(Usman Marwandi)였지만, 붉은 옷을 즐겨 입어 ‘붉은 매(Lal Shahbaz)’라는 별명을 얻었다.랄 샤바즈 칼란다르는 엄격한 율법보다 내면의 수양과 신과의 직접적인 교감을 강조했으며, 이 때문에 당시 주류 이슬람 학자들과 대립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모든 종교와 계층을 초월한 사랑과 .. 방글라데시의 벵골 신년 축제, 포헬라 보이샤크(Pohela Boishakh)의 유래 1. 벵골력과 포헬라 보이샤크의 기원방글라데시와 서벵골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전통 축제 중 하나인 **포헬라 보이샤크(Pohela Boishakh)**는 벵골력(Bangla Calendar)의 첫날을 기념하는 신년 축제이다. 벵골력은 16세기 무굴제국의 아크바르 황제(Akbar, 1542~1605)에 의해 공식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원래는 농업과 세금 징수와 관련된 실용적인 목적에서 탄생했다.아크바르 황제 시대, 무굴제국은 페르시아 태음력(Hijri Calendar)을 기반으로 세금을 부과했지만, 이슬람력은 농업 주기와 맞지 않아 벵골 지역의 농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이에 황제는 기존의 태음력을 기반으로 하되, 벵골의 계절적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태양력 기반의 달력을 만들도록 명령했다. 이렇게 탄생한 .. 카자흐스탄 유목민들의 전통 축제, 나우리즈 메이람(Nauryz Meyram)과 신년 의식 1. 유목민의 시간 개념과 나우리즈의 기원키워드: 태양력, 춘분, 조로아스터교, 유목 생활, 생명의 순환카자흐스탄의 대표적인 전통 축제인 **나우리즈 메이람(Nauryz Meyram)**은 매년 춘분(3월 21~22일)에 맞춰 열리는 신년 축제다. 이 축제는 단순한 연중행사가 아니라,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한 중앙아시아 민족들에게 있어 '시간의 순환'과 '새로운 시작'을 기념하는 신성한 의식으로 자리 잡아왔다.나우리즈(Nauryz)라는 단어는 페르시아어로 '새로운 날'을 의미하며, 이는 과거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에서 유래한 태양력 기반의 달력 체계를 반영하고 있다. 유목 생활을 해온 카자흐 민족은 자연과 계절 변화에 따라 삶의 리듬을 맞추었고, 봄의 도래는 새로운 삶의 주기가 시작됨을.. 우즈베키스탄의 바자르 축제, 수즈안나이(Suzanna’i)와 전통 직물 공예 1. 수즈안나이의 기원과 역사우즈베키스탄은 고대부터 실크로드(Silk Road)의 중심지로 번성한 지역으로, 다양한 문화와 전통이 어우러진 독특한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수즈안나이(Suzanna’i)**는 우즈베키스탄 전역에서 열리는 바자르 축제 중 하나로, 직물 공예와 전통 자수를 중심으로 한 문화 축제다.'수즈안나이'라는 명칭은 우즈베크어에서 '수잔(Suzan)'이란 바늘을 뜻하며, 이는 직물에 자수를 놓는 전통에서 유래되었다. 본래 이 축제는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시장(바자르)에서 장인들이 모여 작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며, 직조 기술과 자수 기법을 공유하는 자리로 시작되었다.이 축제의 기원은 몽골 제국 이전 시기의 중앙아시아 유목 문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유목민들은 양모와 면을 이용.. 타지키스탄의 조로아스터교 불 축제, 사데흐(Sadeh)의 재발견 1. 사데흐의 기원과 조로아스터교적 의미사데흐(Sadeh)는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의 중요한 불 축제 중 하나로, 불을 통한 정화와 생명의 지속성을 기리는 행사다. 이 축제는 고대 페르시아 제국(아케메네스 왕조, 기원전 550330년)과 사산 왕조(224651년) 시절에 성대하게 거행되었으며, 오늘날 이란과 타지키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간헐적으로 재현되고 있다.사데흐는 겨울 한가운데에서 100일을 기념하는 행사로, 페르시아어 ‘Sadeh(صد)'는 ‘백(100)’을 의미한다. 이는 동지 이후 100일이 지난 시점을 기념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 조로아스터교의 신학적 관점에서 불은 신인 아후라 마즈다(Ahura Mazda)의 창조물로, 악마(앙그라 마이뉴, An..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