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축제

아프가니스탄 파슈툰족의 봄맞이 축제, 자르다리(Spring Jirga)의 전통

1. 자르다리 축제의 기원과 역사

아프가니스탄의 파슈툰족은 중앙아시아와 중동의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은 고대 부족 사회로, 독자적인 전통과 관습을 지켜왔다. 그중에서도 자르다리(Spring Jirga) 축제는 파슈툰족이 오랜 세월 동안 이어온 대표적인 봄맞이 의례다. 이 축제의 기원은 기원전 수천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본래 유목 생활을 영위하던 파슈툰족이 혹독한 겨울을 이겨낸 후 자연의 회복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초기에는 단순한 감사제 형태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부족의 단결을 다지는 정치·사회적 행사로 발전했다. 자르다리는 단순한 축제가 아니라 부족의 정체성과 유대를 확인하는 중요한 행사였으며, 전통적으로 조상 숭배와 자연 숭배의 요소가 깊이 자리 잡고 있었다.

 

아프가니스탄 파슈툰족의 봄맞이 축제, 자르다리(Spring Jirga)의 전통

2. 자르다리 축제의 주요 의식과 행사

자르다리 축제는 단순한 즐길 거리뿐만 아니라 파슈툰족의 사회적 결속을 다지는 중요한 의례로 구성된다. 축제의 중심에는 **‘지르가(Jirga)’**라고 불리는 부족 회합이 있다. 이는 파슈툰 전사와 원로들이 모여 한 해의 중요한 문제를 논의하고, 부족 간 갈등을 조정하는 회의다. 이와 함께, 파슈툰족을 대표하는 **전통 춤인 ‘아탄(Attan)’**이 행해진다. 아탄은 전사들의 용맹과 단결을 상징하는 춤으로, 빠른 박자에 맞춰 동그랗게 돌며 춤을 추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파슈툰어 시 낭송(Pashto Poetry)**이 이어지는데, 이는 조상의 용맹과 부족의 영광을 기리는 서사적인 형식으로 전해진다.

축제의 또 다른 핵심 요소는 **동물 희생 의식(Qurbani)**이다. 양이나 염소를 신에게 바치며 부족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이 의식은 고대 제의(祭儀)적 성격을 띠고 있다. 마지막으로, 축제의 절정은 공동 식사로 마무리된다. 부족원들은 함께 음식을 나누며 친교를 다지고, 이를 통해 공동체의 유대를 확인한다.

 

3. 사회적 의미와 공동체 결속의 역할

자르다리 축제는 단순한 문화 행사가 아닌, 부족 사회를 하나로 묶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파슈툰족 사회는 전통적으로 혈연과 부족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축제 기간 동안 열리는 지르가 회합은 부족 간 분쟁을 해결하고 평화를 조정하는 자리가 된다. 이러한 전통은 **파슈툰왈리(Pashtunwali)**라 불리는 부족의 도덕적 규범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축제 속 여러 의식들은 부족 정체성을 강화하고 세대 간 전통을 전승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어린 소년들이 전통 춤 아탄을 배우고, 노인들이 시를 낭송하며 부족의 역사를 전달하는 과정은 문화적 연속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축제를 통해 부족원들은 자신들이 속한 공동체의 가치를 다시금 확인하고, 이를 후손들에게 계승할 책임을 느끼게 된다.

 

4. 현대에서의 변화와 보존 노력

그러나 20세기 후반 이후, 자르다리 축제는 점점 그 원형을 잃어가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적 불안정, 전쟁, 도시화 등의 요인이 축제의 전통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1970년대 이후 지속된 내전과 탈레반 정권의 영향으로 부족 전통이 위축되고 종교적 보수성이 강화되면서 일부 의식이 사라지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자르다리 축제를 보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일부 문화 단체와 연구자들은 파슈툰족의 정체성을 되살리기 위한 민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아프가니스탄뿐만 아니라 파키스탄의 파슈툰족 지역에서도 축제를 부활시키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디아스포라(해외 거주 파슈툰족) 사회에서도 자르다리 축제를 재현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이를 통해 전통의 단절을 막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한 문화 보존을 넘어, 파슈툰족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켜나가는 상징적인 행위로 자리 잡고 있다.